義兵將 岐峯 柳復起의 壬亂倡義錄
壬辰 四月 十四日 癸卯. 倭寇陷東萊 府使宋象賢 死 巡察使金晬 傳令 列邑聚軍擧事
임진년(1592) 4월 14일 왜구가 동래를 함락하고 부사 송상현(1551-1592)이 전사했다.
순찰사 김수가 여러 읍에 군사를 모아 거사하라는 영을 전했다.
(*순찰사 김수는 어디론가 달아나면서 명을 만들어 각읍에 보냈다,)
六月 初一日 己丑. 裵龍吉 金湧 柳復起 共謀義擧 俄而 安集使 金玏 奉命來到 以章甫爲里將 各於所居村 點起軍丁
6월 초1일 기축. 배용길, 김용, 류복기가 의거할 것을 같이 합의했다. 얼마후 안집사 김륵이 명을 받들고 와서
그 마을의 선비를 마을의 장수로 삼아 각자 살고있는 마을에서 군사가 될 장정을 점고하게 했다.
七月十七日 甲戌. 裵龍吉 向九獜村 起軍人民 竄於山頂䕺薄 因其夜下家宿之隙縻其父兄各招子弟分定隊正二百餘人
7월 17일 갑술. 배용길이 구린촌에 가서 인민을 군사로 일으켰는데 낮에는 산꼭대기 숲속에 숨었다가 밤에 집으로 내려와서 잠자는 틈을 타서 그 부형을 얽어서 각기 자제들을 불러 200인을 대정을 나누어 명부를 만들었다.
十九日 兵使 朴晉 入本府 裵龍吉卽付所起軍于兵使
19일 병사 박진이 본부(안동부)에 왔다. 배용길이 기군한 명부를 넘겨줬다.
八月 初五日 壬辰. 招諭使 金誠一 招諭文來 裵龍吉卽出通文一邑 約會廬江書院 與金允明 金允思 往會 則惟 柳復起 鄭澡 赴約 又出文通告約會全法寺
8월 초5일 임진. 초유사 김성일의 초유문이 왔다. 배용길이 일읍에 통문을 내고 여강서원에 모이자고 했다. 김윤명 김윤사 형제가 더불어 서원에 왔을 때 오직 류복기와 정조 만 와있었다. 또 통문을 내어 전법사에 모이자고 했다.
九日 丙申. 會于全法寺 松亭 相與盟曰 日馭播越 腥塵汚穢 身死何惜 但鄕閈軍丁 屬盡官簿 白面空拳徒奮何爲 而國事至此 成敗强弱 有不可計也 相與着署而誓
9일 병신. 전법사 송정에 모여 서로 더불어 맹세하였다.
‘임금님이 도성을 비우고 몽진을 떠났고, 강토는 왜군의 더러운 비린내로 오염되었는데, 내 몸 죽는 것을 어찌 애석하다 하겠는가?’
다만, 마을 어귀에 모인 군정(軍丁)을 모두 관청장부에 올리고,
'아무런 경험도 없이 맨주먹으로 울분만 터뜨리면 어찌하겠느냐 만, 나라일이 이지경에 이르렀으니 성패와 강약은 헤아릴 일이 아니다.' 하고, 서로 더불어 서명하고 서약하였다.
十二日 己亥. 會盟于 臨河 一鄕士友不期而至者百數 薦生員金允明爲大將 進士 裵龍吉爲副將 李亨南爲整齊將 有司 柳復起 爲鄕軍都監
12일 기해. 임하에서 회맹하였다. 한 고을의 선비친구들이 약속도 없었는데 찾아온이가 100여 명이었다. 생원 김윤명을 대장으로 추천하고, 진사 배용길을 부장으로, 이형남을 정제장으로 유사 류복기를 향군도감으로 삼았다.
十八日 乙巳. 會鄕校 以李庭栢 更爲大將 以鄕校爲陣所
18일 을사. 향교에 모여서 대장을 이정백으로 바꾸고, 향교를 진소로 하였다.
二十日 丁未. 與禮安義城軍威人 會盟一直縣合陣 以禮安金正字垓爲大將 生員李庭栢 進士裵龍吉 爲左右副將 幼學柳復起 李亨男爲整齊將 號安東列邑鄕兵 以安東爲本陣. 〇 時西上 鳥嶺之餘賊 每三十里 設一屯 咸昌唐橋之賊 最爲强大 安禮陷城之後 聞其義擧發通遂撤歸 龍宮醴泉之境 焚掠之患 罔有餘地矣.
20일 정해. 예안, 의성, 군위 사람과 더불어 일직현에 모여서 합진할 것을 맹세하였다. 예안의 정자 해를 대장으로 생원 이정백, 진사 배용길을 좌우 부장으로 유학 류복기, 이형남을 정제장으로 이름을 '안동열읍향병'으로하고 안동을 본진으로 하였다.
〇 이때 적군은 북서쪽으로 올라가고 조령 이남에 남은 적군은 매 30 리에 1 둔의 진지를 설치하였는데, 함창 당교의 적이 가장 강대했다. 적이 안동과 예안성을 함락한 후에 의병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는 용궁 예천지경으로 철수하여갔으니, 이 후에는 불지르고 노략질 당하는 걱정이 없어졌다.
十一月 初五日. 巡察使以 金允思 幼學柳復起 爲揀兵將揀擇精兵 自是移陣于醴泉松邱 與賊壘相對遣伏兵壯士 射奪倭馬二匹 於尙州之盤嚴
11월 초 5일. 순찰사가 김윤사와 유학 류복기를 간병장으로 삼아 정병을 가려뽑았다. 이로부터 진을 예천 송구로 옮겨서 적진과 대치하였다. 장사를 복병으로 보내어 상주 반암에서 왜군의 말 두 필을 쏘아서 빼았았다.
癸巳 元朝. 覵敵休息 伏兵乘夜 突入敵陣中 射殺無數奪其槍劍 連放震天雷一陣驚動 死者甚衆 翼夜又如之 射殺十餘人
계사년(1593) 설날. 적이 쉬는 것을 엿보고 복병이 밤을 틈타 적진중에 돌입하여 무수히 사살하고 그들의 창검을 빼았았다. 연달아 진천뢰를 쏘아 적진을 경동시키니 죽은자가 심히 많았다. 이튼날 밤에도 이와같이 하여 10여 인을 사살했다.
自此至四月. 八次設伏兵 於唐橋 盤巖 松峴等處 斬賊 二十餘級 生擒一賊首 其餘射殺無數 前後斬劃 輒報巡使 皆蒙賞格公文巡察使 後題送曰 斬將獻馘頂背相望 當爲本道義兵之首
이로부터 4월에 이르기까지 여덟 차례나 복병을 투입하여 당교 반암 송현 등지에서 적의 머리 20여 급을 베고, 적 우두머리 1 명을 사로잡고, 그 나머지를 무수히 사살했다. 전후로 사살하고 포획한 사실을 순찰사에게 보고하여, 유공자 모두가 상훈을 받는 공문이 내려왔다. 순찰사의 제송에서 적병의 귀를 잘라 보고하는 공문이 연달아 이어진 실적이 본도에서 당연히 으뜸입니다. 라고 하였다.
安集使 啓聞曰 安東鄕兵 與 金沔, 郭再祐等 聲勢相應 賊鋒雖多 將不足患
안집사의 조정에 올린 계문에 이르기를 ‘안동향병은 김면, 곽재우 와 더불어 명성과 위세가 서로 비슷하여 적봉이 비록 많다고 해도 장차 근심할 바가 없습니다.’라고 했다.
權應銖遺書於陣所曰 安東倡義後 嶺下十餘邑之賊 首尾斷絶 無所着脚 鄕兵之力也
권응수가 진소에 글을 보내 말하기를
‘안동 창의 후에 영남 10여 읍의 적은 머리와 꼬리가 단절되어 발을 들여놓지 못하였으니 이는 향병의 힘이었습니다.’ 라고 했다.
時 自京踰嶺之賊 幷捲唐橋之柵 設陣治海 充斥下邑 殺掠之患 甚於亂初
이때 서울에서 영(嶺)을 넘어온 적이 당교에 있던 진지을 거두어 바다 근처에 설치하니 하읍에는 적군이 가득하여 죽이고 노략질하는 환란이 전쟁초기 보다 심해졌다.
※ 관계 사진
창의록 원본 (복사본)
창의록과 함께 보관된 동국 지도
2010년 6월 1일 임란호국영남충의단 향례ㅡ<수류종회 주관>
향례 집사자 분정
Pianotales - 사랑, 그 아름다운 말 | ||
음악이 안 들리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 ||
음악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