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고와 종택 [호고와(好古窩) 종택] 지방 문화재자료 제57호 < 해평면 일선리 1-24/류종우> 희망을 꿈꾸는 시간 이 건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호고와(好古窩) 류휘문(柳徽文, 1773∼1832)이 건립한 가옥이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마령2동[가르편 마을]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인해 현 위치로..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임하댁 [임하댁] 지방 문화재자료 제53호 <해평면 일선리 1-25[ 류회붕]> 함께하는 삶 이 건물은 류치검(柳致儉, 1807∼1853)이 전주 류씨의 박곡동 종가집에서 수곡동으로 분가한 후, 성리학을 계승한 수재(修齋) 류정호(柳廷鎬, 1837∼1907)가 집터를 마련하고 류연구(柳淵龜, 1861∼1938)가 지은 가옥..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수남위 종택 [수남위(水南位) 종택] 지방 문화재자료 제51호 < 해평면 일선리 1-22/류해종> 이 건물은 안동시 임동면 박곡동에 수남위(水南位) 류원(柳垣, 1540∼1568)이 세운 전주 류씨 수남위파 종가집이다. 이곳에서 5대손 류현시(柳顯時)를 비롯한 여러 명현들이 배출되었다. 1700년경 화재로 불타버..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삼가정 [삼가정] 지방 문화재자료 제50호 < 해평면 일선리 1-55/류석기> 함께하는 삶 이 건물은 류봉시(柳奉時)가 아들 류승현(柳升鉉, 1680∼1746)과 류관현(柳觀鉉, 1692∼1762)을 교육시켰는데, 두 아들의 학덕과 벼슬이 세상에 드러나자 그 기쁨으로 집 앞에 세 그루의 가죽나무를 심고 정자 이름..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만령초당 [만령초당] 지방 문화재자료 제58호 <해평면 일선리 43/류기태> &#10; 이 건물은 17세기 말기에 류익휘(柳益輝, 1629∼1698)가 건립한 초당(草堂)이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마령2동[가르편 마을]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현 위치로 옮겼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집이다...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대야정 [대야정] 지방 문화재자료 제54호 < 해평면 일선리 44/류기영> 맑은 하늘을 바라보며 음악이 안 들리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이 건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대야 류건휴(柳健休, 1768∼1834)가 영조(英祖) 46년(1770)에 지은 정자이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수곡동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망천동 임당댁 [망천동 임당댁] 지방 민속자료 제59호 < 해평면 일선리 45 /류용희> 함께하는 삶 이 건물은 종서(宗瑞) 김규진(金圭鎭)이 조선 영조(英祖) 51년(1775)에 건립한 가옥으로 '단포고택(丹浦古宅)이라 부르기도 한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망천동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인해 현 위치..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
침간정, 용와종택 [용와종택및 침간정] 지방 민속자료 제18호 < 해평면 일선리 1-54 /류석기> 맑은 하늘을 바라보며 이 건물은 조선 숙종(肅宗)때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지낸 용와 류승현(柳升鉉, 1680∼1746)이 동왕(同王) 36년(1710)에 세운 가옥이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박곡동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 우리마을 이야기/일선리 문화재 201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