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무실 입향 이후 행적 16

배출인물

배출한 인물 가. 불천위(不遷位) 5위 - 대 학자로서 영원토록 제사를 모시도록 교지가 내리거나 유림에서 추대하는 조상으로 우리 문중에 다섯 분이다. (百拙庵 柳 㮨, 慵窩 柳升鉉, 三山 柳正源, 好古窩 柳徽文, 定齋 柳致明) 나. 천사(薦仕) 6인 - 조정에 출사하는 길에는 가장 명예로운 길이 출중한 재주가 있는 큰 선비로 도 단위 지역 단체나 암행어사의 추천을 받아서 뽑히는 천사(薦仕)이다. 우리 문중에는 여 섯 분이다. (蘆厓 柳道源, 柳星休, 壺谷 柳範休, 壽靜齋 柳鼎文 , 好古窩 柳徽文, 東林 柳致고) 다. 대과 급제 13인 - 우리 문중에는 문과 10인 무과 3인의 급제가 있는데, 기봉 선조의 증손자 空空齋 柳廷輝께서 1652년 문과 급제를 시작으로 空空齋 柳廷輝, 乖厓 柳 榰, 涵碧堂 柳敬時..

기양서계 국역

기양서계국역(岐陽誓戒國譯) 우리 先祖 岐峰 先生께서 처음 무실에 터를 잡아 門戶를 세우시어, 그 儒風 餘韻이 數 百年을 지나도록 떳떳하게 남아 있는 것은 行實을 敦篤히 하였고, 學業을 부지런히 하여 근본에 힘을 써서 허영에 들뜨지 않고, 謙讓과 공손으로 物慾에 얽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先代부터 지켜 내려오던 유풍(儒風)이 不幸하게도 점차 옛날과 같지 아니하고 近來에는 후생들이 規範을 어기는 자가 있으니 심히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 先祖의 享祀에 參與한 여러분들은 효성스런 까마귀(烏鳥)와 같은 情이 울어 나와 祖上을 追慕하고 淳朴함을 돌이켜 우리 조상들의 業績을 다시 일으키고자 함일 것이다. 원컨대 여러 종친들은 학문에 힘쓰고 行實을 삼가 하여 親族끼리 敦睦하는 가운데 每事에 반드시 先祖의..

독립유공자 명부

독립유공 훈포장자 명부 - 전주류씨 류복기, 류복립 후손 - 성 명 생몰 년도 마을 훈격 주요 활동 1 류교희 柳敎熙 1886-1965 박실 애국장 임동 3․1운동. 징역 6년 2 류동수 柳東壽 1898-1983 무실 애족장 임동 3․1운동. 징역 1년. 일명 晩秀 3 류동창 柳東暢 1898-1988 무실 애족장 임동 3․1운동. 징역 2년 4 류동혁 柳東爀 1891-1920 무실 애족장 임동 3․1운동. 옥중 순국 5 류동환 柳東煥 1885-1973 한들 애족장 임동 3․1운동. 징역 2년 6 류 림 柳 林 1894-1961 계곡 독립장 임동 3․1 운동, 서로군정서, 신한청년단, 아나키스트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국무위원. 7 류세진 柳世振 1886-1923 임동면 애족장 대한 통의부 ※ 가명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