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날 안동의날 안동의날 제정 배경은 2003년 10월3일 안동시 승격 40주년을 기념하여 전통문화의 고장으로 안동의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기고 시민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고자 안동의 날을 정한것입니다. 후삼국시대에 고려와 후백제의 각축지로 호족인 김선평ᆞ권행ᆞ장정필등이 고려 태조 .. 정보실/안동 2018.10.05
안동팔경은 안동팔경 [仙漁暮帆], [歸來朝雲], [西岳晩鐘], [臨淸古塔], [鶴駕歸雲], [燕尾細雨], [陶山明月], [河回淸風] 등 여덟 군데 명승지를 일컬음이다. 安東八景歌 대산(大山)이상정(李象靖. 1710-1781) 선생이 지었다. 仙漁臺下銀魚肥 선어대 아래에 은어들은 살쪘고 歸來亭上白雲遊 귀래정 위에는 .. 정보실/안동 2018.06.05
퇴계 묘소, 도산서원 <퇴계의 며느리> 퇴계선생의 맏며느리 봉화금씨(奉化琴氏)는 안동군 와룡면 오천 군자리에 사는 광산김씨 예안 입향조(禮安入鄕祖)인 참판공 농수 이효로(金孝盧)의 사위인 봉화금씨 장사공파 훈도 금재의 맏 딸로서 퇴계의 장자 이준의 아내이다. 퇴계는 맏며느리를 맞을 때 상객(.. 정보실/안동 2017.06.01
농암 이현보 종택 %EB%86%8D%EC%95%94%20%EC%9D%B4%ED%98%84%EB%B3%B4%20%EC%A2%85%ED%83%9D 안동_聾巖(농암 이현보 선생) 종택 정보실/안동 2017.05.29
안동문화유산 2-1. 100여년 역사 그늘에 갇힌 비운의 대종택 안동 임청각 (臨淸閣) 경북 안동지역에 위치한 임청각(臨淸閣·보물 제182호) 경북 안동지역에 위치한 임청각(臨淸閣·보물 제182호)은 일제시대의 슬픔을 가득 안고 있는 곳이다. 안동댐 입구에 들어서 좌측편에 자리한 임청각은 원래 99칸 규.. 정보실/안동 201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