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원가(閨怨歌) ?
~~~~~~~~~~~~~~
엊그제 젊었더니 벌써 어찌 다 늙었는가
어린 시절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하여도 소용없다.
늙어서 서러운 사연을 말하자니 목이 멘다.
부모님께서 날 낳아 몹시 고생하여 이내 몸을 길러 내실 때
높은 벼슬아치의 짝은 바라지 않아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랐더니.
삼생(전세, 현세, 내세)의 원망스러운 업보이자 부부의 인연으로
서울 거리의 호탕한 풍류객이면서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서,
(시집갈) 당시에 마음 쓰기를 살얼음 디디는 듯하였다.
열다섯, 열여섯 살을 겨우 지나 타고난 고운 모습이 절로 나타나니,
이 모습 이 태도로 평생을 기약하였더니,
세월이 빨리 지나가고 조물주가 시기함이 많아서,
봄 바람 가을 물(세월)이 베틀의 올에 북 지나가듯 쏜살같이 지나더니,
아름다운 얼굴은 어디에 두고 보기 싫은 얼굴이 되었구나.
내 얼굴 내 보거니 어느 임이 날 사랑할 것인가.
스스로 부끄럽거늘 누구를 원망하겠는가.
삼삼오오 다니는 기생집에 새 기생이 나타났다는 말인가.
꽃 피고 날 저물 때 정처 없이 나가 있어,
호사스러운 행장을 차리고 어디 어디 머무르시는고,
멀고 가까움을 모르거늘 소식이야 더욱 어찌 알랴.
인연을 끊으려고 한들 (임에 대한) 생각까지 없을 것인가.
얼굴을 못 보거든 그립지나 말지,
열두 때(하루) 길기도 길고, 서른 날(한 달) 지루하다.
규방 앞에 심은 매화는 몇 번이나 피었다가 졌던가.
겨울밤 차고 찬 때 자국눈 섞어 내리고
여름날 길고 길 때 궂은비는 무슨 일로 내리는고.
봄날 온갖 꽃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다.
가을 달이 방에 들고 귀뚜라미가 침상에서 울 때,
긴 한숨 떨어지는 눈물에 속절없이 생각만 많다.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조차 어렵구나.
돌이켜 풀어 생각하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 할 것인가?
청사초롱을 돌려 놓고 푸른빛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아,
벽련화 한 곡조를 시름에 섞어 타니,
소상강 밤비에 대나무 소리가 함께 나는 듯,
(묘 앞에 세워 둔) 망주석에 천 년 만에 돌아온 이별의 학이 울고 다니는 듯,
아름다운 손가락으로 타는 솜씨는 옛 노래 그대로이건만,
연꽃 무늬 휘장을 친 방이 텅 비어 있으니 누구의 귀에 들릴 것인가.
시름이 쌓인 마음속이 굽이굽이 끊어졌도다.
차라리 잠이 들어 꿈에나 보려고 했더니,
'철학 인문 > 남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한 추기경의 말씀 ; ♣ 남은 세월이 얼마나 된다고 ♣ (0) | 2020.07.02 |
---|---|
팡파르/윤상희 | 尹相姬 (0) | 2020.03.07 |
오, 몽환경구여!, (0) | 2020.03.07 |
감동의 서울대 생활수기당선작 (0) | 2019.11.25 |
금쪽같은 아들들아! (0) | 2019.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