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인문/감동

♡ 서서평(徐舒平) / 美 선교사 ♡

록야綠野 2022. 2. 4. 15:53

   여인이 말을 타고 전라도 일대를   여간 순회한 뒤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이번에 만난 여성 500  이름이 있는 사람은  명뿐입니다  1921, 조선여성들은 큰 년이, 작은 년이, 개똥어멈 으로 불립니다.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글을 가르 쳐 주는 것이 저의 가장 큰 기쁨입니다."  간호 선교사로 조선에 발 을 내디딘 엘리자베스 쉐핑 (Elisabeth Johanna Shepping, (한국명; 서서평 徐舒平; 1880~1934)의 기록입니다.  서서평은 독일 출신의 미국 선교사로 한국 최초의 ‘간호선교사 파견되어 왔습니다  당시 조선의 상황은 가난은 이루 말할  없었고 전염병으로 병자가 넘쳐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들에게서 눈과 마음을 뗄 수 없었던 그녀는 서양식 삶을 고수하던 여러 선교사 와 달리

조선말을 익혀 '서서평'이라 이름 짓고, 한복을 입고 된장국을 먹으며 헐벗은 사람들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 때선교사에게 주어진 하루 식비는 3, 그러나 서서평은 10전으로 

허기를 채우고 나머지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썼습니다  걸인들을 데려와 씻기고 옷을  입히는가 하면환자가 버린 아이를 수양아들로 

삼았습니다  그렇게 데려다 키운 아이 가 14아이 낳지 못해 쫓겨나거나 오갈데 없는 여인 38명도 거둬 보살폈습니다.  한번은 병원 앞에 버려진 아기를 어느 집에 맡겼는데 잘 키우겠다는 약속과 달리 술심부름을 시키는 것을 보고 그 동안의 양육비를 주고 데려오기도 했습니다.  서서평이 광주에 한국최초 의 신락교인  이일학교(裡一學敎; 1961년 전주로 이전하고 한일장신 대학교 개명)와 조선 간호부회 (대한 간호협회 전신)를 세운 것도 이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조선에서 이렇게 헌신하다 휴가를 받아 잠시 미국에 가 어머니를 만났을 때, 고된 생활에 찌든 딸을 보고   "몰골이 부끄러우니 돌아가라!" 하며 매몰차게 외면했습니다.  강냉이 가루 2현금 7반쪽짜리 담요...   서서평이 22년 간의 조선 에서 선교사의 생활을 하는 도중 언제나 어려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전부 나누어 주고 베풀며 자기 자신은 영양실조로 삶을 마치고 세상을 떠날 때 남긴 유품의 전부였습니다.  거적떼기를 덮고 자는 사람에게 그의 담요 반쪽을 찢어주고남은 반쪽으로 가냘픈 몸을 가린   땅의 삶을 그렇게 마쳤습니다.  그의 장례 행렬을 뒤따르던 천여 명은  통곡하며  목소리로 외쳤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그로부터 80여 년이 흐른 오늘까지도서서평이 묻힌 광주광역시 양림동 뒷동산에는

그의 참사랑과 헌신을 추억하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녀의 침대 맡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 있습니다.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다.Not Success, But serve”